HTTP 캐시는 첫 HTTP 요청 시 HTML, Image, JS, CSS 등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특정 위치에 복사본을 저장하고 이후 동일한 HTTP 요청 시 다시 다운로드하지 않고 내부에 저장한 파일을 사용하여 더 빠르게 서비스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HTTP의 버전은 초기 버전인 HTTP/0.9부터, HTTP/1.0, HTTP/1.1, HTTP/2, 그리고 가장 최근 버전인 HTTP/3까지 5개의 버전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 각 버전 별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은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HyperText)를 전송(Transfer)하기 위한 통신 규약(Protocol)입니다.
쿠키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질 경우 쿠키가 탈취 되었을 때 큰 피해가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 쿠키를 사용하기 전에 쿠키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주의하며 사용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웹 취약성을 노리는 XSS와 XSRF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ES2020에 추가된 기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velte + TS + SCSS 구조의 프로젝트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ECMAScript와 TC39 제안 프로세스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벨트 입문 강의가 인프런에 런칭되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를 모듈화할 수 있게 한 CJS, AMD, UMD, ESM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Svelte와 Vue를 사용하면서 느낀 차이점을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Module context를 사용하면 같은 컴포넌트로 생성한 인스턴스 간의 코드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Svelte는 유용한 몇가지 내장 요소(element)를 제공합니다.
Context API는 컴포넌트의 데이터와 함수를 props 외의 방법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컴포넌트가 자식 요소를 가질 수 있게 하는 Slot을 살펴봅니다.
Svelte의 액션은 Vue.js의 커스텀 디렉티브와 유사합니다. Svelte의 액션을 살펴보겠습니다.
Svelte는 애니메이션을 간편히 사용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 디렉티브를 제공합니다.
Svelte는 DOM에 요소들이 추가, 제거되었을 때 트랜지션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트랜지션 디렉티브를 제공합니다.
Svelte에서는 변수의 값이 업데이트되었을 때 애니메이션을 사용할 수 있는 Motion 기능을 제공합니다.
Svelte의 상태 관리를 지원하는 store를 제공합니다.
컴포넌트의 생명주기(Lifecycle)를 이야기할 것입니다.
Svelte의 데이터 바인딩을 이야기합니다. 많이 사용되지는 않지만 필요할 때 사용하면 편리한 기능들입니다.
Svelte의 기본적인 데이터 바인딩을 이야기합니다.
Svelte에서 이벤트를 다루는 방법을 이야기합니다.
Svelte 내의 HTML에서 조건문, 반복문을 표현하는 방법을 이야기합니다.
상위 컴포넌트에서 하위 컴포넌트로 전달되는 데이터들을 Props라고 합니다. Svelte의 Props을 이야기 합니다.
사용자 행동에 따라 반응형으로 동작하는 웹을 만들기 위한 Svelte 문법을 이야기합니다.
Svelte의 기본 문법을 Vue.js와 비교하여 이야기합니다.
rollup + sass + typescript와 webpack + sass + typescript를 사용할 수 있도록 Svelte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방법을 이야기합니다.
새롭게 등장한 Svelte라는 프레임워크를 소개합니다.
script 태그를 비동기 처리하여 브라우저의 파싱을 차단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할 것입니다.
브라우저의 화면이 수정될 때, 렌더링 과정을 최적화 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할 것입니다.
브라우저에서 리소스에 우선순위를 지정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브라우저 렌더링 최적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할 것입니다.
브라우저가 화면을 렌더링 하는 과정에 대해 이야기할 것입니다.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의 동작 원리를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_render()와 _update()에서 호출하는 render 함수와 __patch__ 함수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baseCompile 함수에서 사용하는 parse, optimize, generate 함수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view를 DOM에 그릴 수 있도록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코드로 변환하는 컴파일러 함수를 만드는 과정을 이야기할 것입니다.
Vue에서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3가지 방법을 이야기할 것입니다.
Vue에서 데이터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을 이야기할 것입니다.
Vue 코어 함수에서 호출하는 초기화 동작을 이야기할 것입니다.
Vue 코어 함수의 mixin 레이어를 이야기할 것입니다.
Vue의 큰 구조와 Vue의 코어 함수를 살펴볼 것입니다.
Vue의 코드를 분석하기 전에 준비 사항과 분석을 시작하는 과정을 이야기할 것입니다.